-
Profile 1.2020/<Roasting> 2020. 9. 19. 23:27
1. 생두 종류
1. 케냐 Rukira AA
- 가공방식 : Washed
- 재배고도 : 1,800 ~ 2,000 m
- 커피품종 : SL28, SL34, Ruiru11
- 커피특징 : Sweet apricot, fruity, nutty, black tea, nice grapefruit
2. 케냐 Chinga Queen AA
- 가공방식 : Washed
- 재배고도 : 1,800 ~ 2,000 m
- 커피품종 : SL28, SL34, Ruiru11
- 커피특징 : Bright citrus acidity, Sweet apricot, nutty and chocolate
3. 에티오피아 Idido Honey G1
- 가공방식 : Natural
- 재배고도 : 1,950 ~ 2,300 m
- 커피품종 : Ethiopia Heirloom
- 커피특징 : Peach, Sage, Strawberry, Grape, Honey
로스팅 정보
- 가공일자 : 20년 9월 19일 13:00 ~
- 로스터기 : 태환 THCR-01
- 가공준비 : 생두들은 모두 결점두가 제거되었으며, 각 1kg 씩 준비됨.
한 번에 약 330g 씩 투입되며, 생두별로 3번씩 로스팅, 1, 2, 3번 원두로 구분한다.
에티오피아 생두가 케냐 생두 2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았음,
생두의 크기에 따른 열 전달을 확인하기 위해 각 배치는 최대한 일정하게 로스팅한다. - 가공의도 : 케냐 원두를 커핑했을 때 케냐 특유의 커런트의 맛과, 산미가 과도하다고 판단됨.
따라서 1, 2번 원두는 기존 선호배전도로 로스팅 하되, 3번 원두는 의도적으로 배전도를 조금 더 강하게 로스팅,
단향을 더 생성해서 산미를 잡을 수 있도록 로스팅 한다.
3. 로스팅 기록
- 케냐 루키라 AA ˚
1번 배치 2번 배치 3번 배치 투입온도 / ˚C 186 186 185 TP (터닝 포인트) / ˚C 107 103 102 옐로우 구간 (150˚C) / time 3'25" 3'25" 3'30" 반응구간 3'49" 3'35" 3'35" 1차크랙 7'14" 7'00" 7'06" DTR % 18.8 18.4 22.3 최종시간 8'55" 8'35" 9'07" 로스터기의 예열이 충분치 않아서 1, 2번째 배치에서 터닝포인트가 조금 높게나옴,
투입온도는 바꾸지 않고, 로스팅 시간, DTR만 변화를 주어 배전도를 높임
- 케냐 친가퀸 AA
1번 배치 2번 배치 3번 배치 투입온도 / ˚C 185 185 180 TP (터닝 포인트) / ˚C 103 103 100 옐로우 구간 (150˚C) / time 3'30" 3'30" 3'55" 반응구간 3'31" 3'32" 3'46" 1차크랙 7'01" 7'02" 7'41" DTR % 18.8 18.1 17.4 최종시간 8'38" 8'35" 9'19" 루키라와는 다르게 3번 원두를 투입온도를 낮추어서 로스팅함, 1차크랙 시간이 뒤로 밀리면서 상대적으로 다크해짐
- 에티오피아 이디도 허니
1번 배치 2번 배치 3번 배치 투입온도 / ˚C 185 185 180 TP (터닝 포인트) / ˚C 101 101 99 친가퀸 생두와 마찬가지로, 투입온도만 가지고 배전도를 유도.